카테고리 없음

[경제전망] 연착륙? 경착륙? (7월 GMO 보고서)

동전따개 2023. 7. 31. 10:00

GMO 7월 경제보고서

 

요즘 경제는 연착륙이 가장 큰 화두인 것 같습니다.

탄탄한 고용을 보면 경제위기 없이 경기회복에 나설것 같은데요,

또 한편으로는 줄어가는 사람들의 저축액과 지속적인 물가 상승으로 인한 금리인상이

경제의 경착륙을 불러올것이라는 예측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습니다.

 

GMO 리포트

1. 느린 번지는 민스키 순간(Minsky Moments): 

민스키의 재정 불안정 가설에 따르면, 안정은 불안정을 낳는다. 이 문서는 민간부문 부채가 과도하게 쌓이면 경제 시스템이 매우 취약해지는 상황을 설명한다. 이러한 상황은 예측 가능한 놀라움(회색 백조)으로 볼 수 있다. 이 문서는 부채/자본비율, 부채/수입비율, 부채/자산비율 등의 지표를 통해 부채의 위험성을 평가한다. 이 문서는 미국, 유럽, 일본, 호주, 신흥시장 등의 국가별로 부채 수준과 성장률을 비교하고, 부채가 경기 침체나 주식 시장 하락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다.

 

2. 꼬리 위험(Tail Risk) 보호: 

꼬리 위험은 특정 사건이 발생할 확률이 매우 낮지만, 발생하면 막대한 피해를 입히는 위험을 의미한다. 이 문서는 주로 주식 시장 하락이라는 꼬리 위험에 대비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보호를 구매할 때는 가격과 기대 수익률을 고려해야 한다. 

 

3. 보호 전략: 

이 문서는 세 가지 보호 전략을 소개한다. 

첫째, 현금은 가장 오래되고 쉽고 저평가된 보호 수단이다. 

현금은 시장의 변동성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다른 자산으로 전환하기 쉽다. 현금은 금리 상승에 따라 매력이 증가할 수 있다. 

 

둘째, 옵션/조건부 청구권은 시장의 광기 단계에서 제공되는 기회를 활용하는 것이다. 

옵션은 비용이 적고, 수익률이 높고, 손실이 제한적인 보호 수단이다. 2007년 금융위기 전에 발생한 부동산 거품과 관련된 신용부도스왑(CDS)은 옵션의 한 예이다. 

 

 

 

빅테크로 몰리는 시장 성향 땜에 너무 비싸진 Quality 주식.

 

셋째, 꼬리 위험 사건과 음의 상관관계를 가진 전략이다. 

이는 장기적으로 가치를 보존하는 것이다. 이 문서는 고품질/저품질과 가치/성장의 관계를 강조한다. 

고품질과 가치주는 저평가되고 안정적인 자산으로 꼬리 위험에 강하다. 고품질 주식은 주식 시장 하락에서 저품질보다 항상 우수한 성과를 보였다. 가치는 성장보다 대부분의 주식 시장 하락에서 더 잘 버티었다. 

다만 현재 고품질은 저품질에 대비해서 가장 비싼 수준이고, 가치는 성장보다 가장 싼 수준이다. 이는 장기적으로 가치주에서 많은 기회를 찾을 수 있다는 뜻이다.

 

 

요약

 

이번 위기는 '보이는 위기'라는게 결론입니다.

자꾸 경기좋다고 바람잡는 사람들이 보이는데 이번 위기는 확실하다고 하네요.

이렇게 뻔히 보이는 위기 속에서 이상한 포지션 잡지 말고,

극단적인 숏, 롱 포지션이 아닌 저평가 먹은 가치주, 현금(예금)을 꽉 쥐고 남은 돈으로 Tail Risk에 대비하는 조금의 보험을 두는 전략이 최고라는 것이 이 보고서의 핵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