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전망8

[경제전망] JP모건의 3분기 글로벌 마켓뷰 불을 뿜고있는 주식시장 최근 주식시장은 거침이 없습니다. 다우 지수는 무려 13일동안 연속 상승했고, 나스닥은 연초대비 무려 50%가 올랐습니다. 개별 종목도 아니고 지수가요! 많은 사람들이 상고하저를 외치며 하반기에는 하락을 예상했지만, 그런 예측을 비웃기라도 하듯 거침없이 올라가고 있습니다. 특히 빅테크 위주의 상승에서 실적 발표 기간을 지나며 점점 상승의 온기가 마켓 전체로 퍼져나가고 있는데요 그렇다면 과연 글로벌 금융사들은 최근의 상승을 어떻게 보고있을까요? 글로벌 금융기업 JP모건의 3분기 마켓 전망 리포트가 발간되었습니다. 함께 보시죠. 요약 지난 3월 지역 은행 위기의 공포 이후 경제 성장률은 잘 유지되고 있으며 기업 수익도 견조하게 유지되고 있습니다. 미국의 경기 침체가 임박했다는 광범위한.. 2023. 8. 10.
[경제전망] 연착륙? 경착륙? (7월 GMO 보고서) GMO 7월 경제보고서 요즘 경제는 연착륙이 가장 큰 화두인 것 같습니다. 탄탄한 고용을 보면 경제위기 없이 경기회복에 나설것 같은데요, 또 한편으로는 줄어가는 사람들의 저축액과 지속적인 물가 상승으로 인한 금리인상이 경제의 경착륙을 불러올것이라는 예측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습니다. 1. 느린 번지는 민스키 순간(Minsky Moments): 민스키의 재정 불안정 가설에 따르면, 안정은 불안정을 낳는다. 이 문서는 민간부문 부채가 과도하게 쌓이면 경제 시스템이 매우 취약해지는 상황을 설명한다. 이러한 상황은 예측 가능한 놀라움(회색 백조)으로 볼 수 있다. 이 문서는 부채/자본비율, 부채/수입비율, 부채/자산비율 등의 지표를 통해 부채의 위험성을 평가한다. 이 문서는 미국, 유럽, 일본, 호주, 신흥시장.. 2023. 7. 31.
[경제 전망] 블룸버그, WSJ의 중국 경제 전망 (2) 중국은 끝까지 부동산 부양 정책을 주저한다 (지난 글에 이어서) 이 부분은 저도 기대를 내려 놓을까 싶네요. 아래 사이트에서 참조한 자료인데 중국 정부도 여러가지 data를 볼 테니 이대로 라면 부동산 부양책을 쓸 수가 없습니다. 중국이 재정이라도 제대로 쓰기를 기대해 봅니다. 재정 부양책만 잘 해도 유가나 중국, 한국 등 이머징 마켓에 큰 도움이 될듯합니다. 대폭발까지 기대하기는 어렵겠지만요. 중국의 농촌, 도시 이주를 포함한 1년 간 신규 주택 착공 수요가 1 billion인데 이미 최근 몇 년간 너무 많이 착공에 들어갔습니다. 이제 겨우 balance가 맞아가는 중인데다가 매년 수요 감소가 예상되어 펌프질이 어렵습니다. 이건 좀 애매한데... 보통 생활 수준이 올라가면 집이 커지죠. 1인 당 GDP.. 2023. 7. 29.
[경제전망] 인플레이션은 과연 끝났을까? (feat. FOMC) 떨어지지 않는 기대인플레이션 2021년 9월 이후, 소비자심리지수는 최대치를 갱신했습니다. 약 22개월만에 최대치를 갱신하였으며, 그 당시 기준 금리는 0.25% (현재는 5.25%)입니다. 당연히 소비에 직결되는 글로벌 카드사의 영업이익은 최대치를 갱신하여 52주 신고가를 달성했습니다. 자연스레 경기침체에 대한 위험과 관심은 줄어들며 연착륙을 예측하는 전문가 및 개인들은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금리로 답했습니다.. (2차례 금리 인상 해야하나...?!) 결국, 올해 5.75% 금리가 정배가 되버린 상황이네요. 7.26 FOMC까지는 약 일주일 정도 남은 상태인데요 (블랙아웃기간)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인플레이션과 달러인덱스를 보며 연준 의장 파월은 무슨 생각을 하고 있을까요? 2023. 7.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