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직장인 투자

[배당성장주 투자 1] JEPI, TLTW, SCHD의 운용방식을 알아보자!

by 동전따개 2023. 7. 15.

JPEI, TLTW, SCHD는 무엇이고 어떻게 운용되는 상품인가?

올해 서학개미들이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위해 미국 증시에서 배당 상장지수펀드(ETF)를 3500억원가량 사들이고 있죠.

 

국내 투자자들 사이에서 ‘제피’, ‘슈드’라고도 불리는 ‘JP모건 에쿼티 프리미엄 인컴(JEPI)’ 및 ‘슈왑 US 디비던드 에쿼티(SCHD)’ ETF가 그 주인공입니다.

 

대부분의 블로그나 사이트를 보면 이런 배당 상장지수 펀드의 운용방식을 커버드콜 전략으로 퉁쳐서 설명하고 있는데요,

 

사실 이는 정확한 개념이 아닙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월배당 ETF

 

정확한 상품의 작동원리의 이해를 위해서는 ELN이라는 개념을 알아야 합니다.

 

 

ELN의 기본개념은 원금을 "보호" 해주는 증서 입니다.

 

 

 

 

ELN은 2가지 구매를 통해 만들어지는데요,

 

1. 고정금리로 이루어진 채권을 구매함

2. 콜 옵션을 또 구매함

 

 

조금 더 쉽게 설명해보겠습니다.

조건은

  • 투자금 100$
  • MSFT(마이크로소프트)에 상승분을 누리고싶다
  • 3년동안의 기간동안 100% 자본이 보장되어야함 하지만 은행의 신용위험도는 감수할수 있다
  • 1% 쿠폰(이자) 는 있어야 한다(자본에서)
 

그러면 어떻게해야 이 까다로운 조건을 충족시켜줄까요?

 

딱봐도 원금보장을 해주는 1%의 이자를 주는 은행의 투자상품을 투자를 해야겠죠?

 

그래서 답은 채권이 됩니다.

 

 

아래 표를 보겠습니다.

기준금리
5.50%
은행추가금리 0.75%
총 은행금리 6.25%
만기일 3년
쿠폰(이자) 1%
채권의 가격 86.03$

 

(계산의 편리성을 위해서 모든 이자 지급은 연말에 1번 지금함.)

 

이런 조건으로 채권을 발급을 하면 투자자의 조건에 맞는 채권가격이 딱 나옵니다.

근데 투자자가 100$를 투자했다면? 13.97$가 남는거죠.

 

 

그럼 그돈으로 뭐해? 햄버거 사먹어? 할수도 있지만 우리 투자자들은 주식에도 비중을 두고 싶다고 조건이 걸려있습니다.

그럼 남는돈으로 뭘 할수있을까요?

1. 마이크로소프트에 직접투자

2. 마이크로소프트에 "콜 옵션"에 투자하는 방법

 

이 있습니다. 왜냐하면 둘다 상승분을 누릴수있는 수단이기 때문입니다.

 

둘 다 장단점이 있긴한데 그건 나중에 비교하도록 하고 지금은 2번 콜옵션에 투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행사가 콜옵션 풋옵션
52 15.82 10.10
56 14.42 14.25
60 13.15 16.52
64 12.01 18.89
68 10.98 21.36
72 10.04 23.92
76 9.20 26.56
80 8.43 29.27
84 7,74 32.05
88 7.11 34.89
92 6.54 37.77
100 5.54 40.71

 

 

마이크로소프트의 현재가가 50$라고 쳤을때 옵션체인입니다.

사실 이것저것따지고 들어가야할게 많은데 일단 주식의 배당율 등은 제외하겠습니다.

 

일단 알수있는것은 행사가가 높아질수록 옵션가격은 싸진다는 것이죠.

그냥 간단하게 설명하면 사가가 높을수록 그많큼 올라가야하기때문에 싼 겁니다.

풋옵션은 딱 반대로만 생각하면 되고요.

 

 

그러면 이제 투자자가 가진돈 13.97달러를 적당한 콜 옵션에 투자를 하면 완벽해지는 것입니다.

지금 제일 만만한게 60달러 행사가 콜옵션을 볼까요?

 

13.15달러인데, 이걸사고도 나는 0.82의 순수익이 남는겁니다! 원금 보장은 덤이죠.

 

 

 

헐 뭐지? 그럼 무적이네? 사기네? 할수있는데

 

모든 파생상품이 그렇듯, 리스크는 무조건 따라오게 되어있습니다.

 

 

그럼 다음에는 리스크랑 위험성 설명하고 ELN 파생들의 수익률들을 비교해 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