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직장인 투자

[경제 전망] 하워드 막스의 투자메모

by 동전따개 2023. 7. 17.

하워드 막스는 월스트리트의 살아 있는 전설이자 가장 저명한 가치 투자자입니다.

 

1,000억 달러를 운용하는 오크트리 캐피털 매니지먼트(Oaktree Capital Management)의 회장이자 공동 설립자입니다. 2017년 《포브스》 선정 ‘가장 부유한 미국인’(순자산 19억 1,000만 달러) 리스트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는데요,

 

그가 최근 투자자들에게 보낸 서한이 공개되어 공유드립니다.

 

  • 시장주기와 시장예측
    하워드 막스(이하 하워드)는 2000년부터 2020년까지 다섯 번의 주요 시장예측을 했으며, 그 이유와 결과를 설명한다. 시장주기를 이해하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패턴 인식, 과열과 교정, 대중심리, 역설적 사고 등의 요소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1. 2000년 닷컴 거품: 그는 인터넷 기업들의 과대평가와 과도한 투자를 지적하고, 시장의 교정이 필요하다고 예측했다. 이후 닷컴 거품은 터지고, 나스닥 지수는 80% 이상 하락했다.
  2. 2002년 고수익 채권 시장: 그는 고수익 채권 시장이 과소평가되고 있으며, 수익률이 높고 위험이 낮다고 판단했다. 이후 고수익 채권 시장은 회복하고, 그는 큰 수익을 거뒀다.
  3. 2005년 부동산 시장: 그는 부동산 시장이 과열되고 있으며, 부동산 가격은 합리적인 수준을 벗어났다고 지적했다. 이후 부동산 시장은 붕괴하고, 금융위기가 발생했다.
  4. 2008년 금융위기 후: 그는 금융위기 후에 시장이 과도하게 비관적이고, 많은 자산들이 과소평가되었다고 분석했다. 이후 시장은 회복하고, 하워드는 다양한 자산에 투자하여 큰 수익을 거뒀다.
  5.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그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시장이 급락하였으나, 정부와 중앙은행의 대규모 자금주입과 백신 개발의 진전으로 인해 시장이 반등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후 시장은 빠르게 회복하고, 그는 특정 부문에 투자하여 수익을 올렸다.
 
 
  • 매크로 예측과 그의 투자방식
    하워드는 매크로 예측을 통한 투자결정은 불가능하고 위험하다고 생각한다. 그는 보통 중립적인 매크로 가정을 바탕으로 하며, 시장의 과열이나 과소평가 상황에서만 자신감 있게 투자자세를 조정한다. 저자는 시장타이밍을 하지 않으며, 장기적인 가치와 안전여유를 중시한다.
  1. 매크로 예측의 한계: 하워드는 매크로 예측을 통해 시장의 방향과 타이밍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위험하다고 생각한다. 매크로 예측은 너무 많은 변수와 불확실성을 포함하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동일한 예측을 하면 그 가치가 사라진다고 주장한다.
  2. 하워드의 투자방식: 하워드는 보통 중립적인 매크로 가정을 바탕으로 하며, 시장의 과열이나 과소평가 상황에서만 자신감 있게 투자자세를 조정한다고 설명한다. 그는 시장타이밍을 하지 않으며, 장기적인 가치와 안전여유를 중시한다고 강조한다. 그의 투자방식이 시장주기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말한다.
 
 
  • 시장의 온도 측정
    하워드는 시장의 상태와 방향을 판단하기 위해 시장의 온도 측정이라는 개념을 제시한다. 이는 시장의 역사, 심리, 논리, 감정 등을 종합적으로 관찰하고 분석하는 과정이다. 저자는 자신의 경험과 사례를 통해 이 과정을 설명하고, 투자자들에게 유용한 조언을 제공한다.
  1. 시장의 온도 측정이란: 그는 시장의 상태와 방향을 판단하기 위해 시장의 온도 측정이라는 개념을 제시한다. 이는 시장의 역사, 심리, 논리, 감정 등을 종합적으로 관찰하고 분석하는 과정이다. 저자는 시장의 온도 측정을 통해 시장의 과열과 과소평가를 감지하고, 투자기회를 찾을 수 있다고 말한다.
  2. 시장의 온도 측정 방법: 하워드는 자신의 경험과 사례를 통해 시장의 온도 측정을 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저자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고려한다고 한다.
  3. 시장의 역사: 그는 시장의 과거와 현재를 비교하고, 시장의 평균수준과 편차를 파악한다. 하워드는 시장의 역사가 반복되지 않더라도 유사한 패턴이 나타날 수 있다고 주의한다.
  4. 시장의 심리: 그는 시장의 심리가 과도하게 낙관적이거나 비관적인지를 살핀다. 그는 시장의 심리가 가격에 영향을 미치며, 대중심리와 반대로 생각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5. 시장의 논리: 그는 시장의 논리가 합리적인지를 검증한다. 그는 시장의 논리가 종종 잘못되거나 오래되기 때문에, 자신만의 논리를 갖고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6. 시장의 감정: 그는 시장의 감정이 과열되거나 차가워지는지를 파악한다. 하워는 시장의 감정이 자신의 감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조심하며, 감정적으로 투자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한마디로 요약하면,

 

 

시장타이밍을 예측하지 않으며, 장기적인 가치와 안전여유를 중시한다.

 

 

라고 볼 수 있겠네요.

 

가장 올바른 원칙이지만 가장 지키기 어려운 투자원칙이기도 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