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6 [직장인 투자] 금리와 은행 주가의 상관관계 은행의 금리와 주가는 정비례할까? 은행은 기본적으로 금리가 올라가면 돈을 잘 버는 구조인게 맞습니다. 높은 금리를 받을수록 같은 돈을 빌려줘도 높은 이익이 발생하니까요. 그런데 이게 항상 맞는 정의일까요? 정말 금리가 올라가면 돈을 잘 버는 구조가 맞을까요? 답변부터 말하자면, yes일수도 no일수도 있습니다. 경기가 좋은 상황에서 고금리로 장기간동안 유지한다면 은행은 돈을 지속적으로 잘 벌겁니다. 하지만 지금처럼 경기침체가 온다는 신호가 곳곳에서 들려오고 파산하는 기업이 많은 시기에 금리를 장기간도 아니라 단기간만 올리고 내린다면 은행은 과연 돈을 잘 벌까요? 첫째, 미실현 손실의 증가 저금리에 샀던 채권들이 가격이 고금리로 되면 떡락하니까 여기에서 손해를 크게 보는데이런 손해는 생각보다 거대합니다. .. 2023. 9. 2. [직장인 투자] 헷지펀드 시대의 종말? 헷지펀드의 황금기가 저무나? 시타델, 밀레니엄, 포인트72, 숀펠드, 발리애즈니, 엑소더스포인트..... 모두 멀티 매니저 시스템으로 유명한 헷지펀드들이죠. 오늘자 FT에는 이런 멀티 매니저 시스템 기반의 헷지펀드 전성시대가 20년간 이어졌지만, 이런 모델이 이제 종말을 고할지도 모른다는 분석기사를 실었네요. 고금리 시대가 도래하면서, 차입비용이 급증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아울러 채권금리 급변동으로 인해 1998년 LTCM와 같은 이슈들이 벌어질 수 있어 유의해야 한다는 의견도 내놓았습니다. ==================== - 1세대 헷지펀드는 대부분 Thematic 베팅이었음 : 조지 소로스, 폴 튜더 존스, 줄리안 로버트슨 등 - 그러나 최근 대세가 된 멀티 매니저 헷지펀드는 ▲각 전략을 담당하.. 2023. 8. 27. [직장인 투자] 미국은 현재 경기침체기에 들어섰다 미국은 현재 경기침체일까요? 많은 나라들이 미국의 금리인상 속도를 쫓아가지 못하며 경제 지표가 악화되고 있는 가운데, 미국의 경제지표는 여전히 호조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미국은 정말 경기침체 없이(No Landing) 고금리 시기를 지나갈 수 있는걸까요? 위 그림의 빨간선이 GDP이고, 파란선은 GDI입니다. GDI = Gross Domestic Income = 국내총소득이고요. GDP는 올랐으나 GDI가 음수로 떨어지고 있기 때문에, 총생산은 늘었고 버는돈은 줄었다고 해석하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GDI 지수가 현실경기를 더 빠르게 반영한다고 하는데요, 즉, GDP는 성장중인데 미국정부의 세수는 감소하고있다는 뜻이 됩니다. 월스트리트는 지금 "우리 미국이좀 보세요~ 돈은 예전만큼 못벌지만 많이 만.. 2023. 8. 19. [직장인 투자] 미국 CPI 발표 2023.07월 CPI 발표 모두가 숨죽이고 기다리던 미국의 7월 CPI가 발표되었습니다. 인플레가 진정 국면으로 접어드려나 싶었지만, 최근 식료품과 에너지의 가격이 급등하여 모두의 이목이 쏠려있었는데요 상세 결과를 보시죠. 7월 미국 CPI 결과 해석 식품가격 0.2% MoM 상승으로 3월 이후 큰 변화 없는 추세. 그러나 아직 전년대비 4.9%로 완전히 잡히지 않은 상황. 에너지 가격은 0.1% MoM 상승으로 전월대비 상승폭 작음. 7월에 WTI 유가 73-80불 수준이었음. 8월에 80불 이상 유지되면 익월에 상승할 가능성 배제 못함. 상품가격 -0.3% MoM 하락으로 2개월 연속 하락세 유지. 전년대비 0.8% 상승한 수준으로 이미 몇 개월 전부터 고려 요소 아니었음. 서비스 가격은 0.4% .. 2023. 8. 12.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