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은 현재 경기침체일까요?
많은 나라들이 미국의 금리인상 속도를 쫓아가지 못하며 경제 지표가 악화되고 있는 가운데,
미국의 경제지표는 여전히 호조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미국은 정말 경기침체 없이(No Landing) 고금리 시기를 지나갈 수 있는걸까요?
위 그림의 빨간선이 GDP이고, 파란선은 GDI입니다.
GDI = Gross Domestic Income = 국내총소득이고요.
GDP는 올랐으나 GDI가 음수로 떨어지고 있기 때문에, 총생산은 늘었고 버는돈은 줄었다고 해석하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GDI 지수가 현실경기를 더 빠르게 반영한다고 하는데요, 즉, GDP는 성장중인데 미국정부의 세수는 감소하고있다는 뜻이 됩니다.
월스트리트는 지금
"우리 미국이좀 보세요~ 돈은 예전만큼 못벌지만 많이 만들어냈으니까 아무튼 호황이에요~"
라고 외치고 있다는 거죠.
현재 GDP와 GDI의 갭이 역대급으로 발생했는데 보통의 경우 GDP와 GDI는 서로 수렴하게되어 있다는 것을 고려해 보면
내년 미국의 GDP는 GDI에 수렴하며, 경기 침체 시그널이 급격하게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시장은 현재 GDP만 보고 반영하고 있는 상태인데요, 다양한 관점에서의 이야기를 듣고 투자에 임하시는 것이 좋아보입니다.
(P.S. 미국 제조업 PMI는 이미 경기침체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직장인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직장인 투자] 가격 모멘텀 관점에서의 섹터별 밸류 (0) | 2023.08.22 |
|---|---|
| [직장인 투자] 중국의 부동산 문제 - 중국은 정말 바보일까? (0) | 2023.08.20 |
| [직장인 투자] BRICS의 새 화폐 게사라 발행 (0) | 2023.08.18 |
| [직장인 투자] 미국 CPI 발표 (0) | 2023.08.12 |
| [직장인 투자] 탄소세란 도대체 무엇일까? (0) | 2023.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