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의 금리와 주가는 정비례할까?
은행은 기본적으로 금리가 올라가면 돈을 잘 버는 구조인게 맞습니다.
높은 금리를 받을수록 같은 돈을 빌려줘도 높은 이익이 발생하니까요.
그런데 이게 항상 맞는 정의일까요?
정말 금리가 올라가면 돈을 잘 버는 구조가 맞을까요?
답변부터 말하자면, yes일수도 no일수도 있습니다.
경기가 좋은 상황에서 고금리로 장기간동안 유지한다면 은행은 돈을 지속적으로 잘 벌겁니다.
하지만 지금처럼 경기침체가 온다는 신호가 곳곳에서 들려오고 파산하는 기업이 많은 시기에
금리를 장기간도 아니라 단기간만 올리고 내린다면 은행은 과연 돈을 잘 벌까요?
첫째, 미실현 손실의 증가
저금리에 샀던 채권들이 가격이 고금리로 되면 떡락하니까
여기에서 손해를 크게 보는데이런 손해는 생각보다 거대합니다.
고금리때문에 대형은행들이 일년에 수 조원씩 더 벌게되는건 맞는지만,
그에 비례해서 실현되지 않은 미실현손실들이 지속적으로 쌓이게 되며,
이러한 손실로 인해 최근 은행 파산 위기가 불거지기도 했습니다.
두번째, 파산 위험성 증가
고금리는 결국 채무자에게 전과되는거라 채무자의 파산 위험성이 늘어납니다.
경기가 좋을때 고금리로 올려도 파산율이 늘어나는데 경기가 안좋은 상태면 말할것도 없겠죠?
이런 비용들과 고금리로 버는 돈이 상충되는데 그렇기에 실제적으로 장기간으로 가지 않는 이상 크게 남지 않습니다.
오히려 제대로 경기침체 쳐맞으면 손실로 전환될 가능성도 있고,
리만 브라더스 사태까지 거슬러 올라가지 않아도 pigs 사태 때 유럽 은행들이 괜히 많이 망한게 아닙니다.
그럼 금리가 내려가면 은행주의 주가가 떨어질까?
기본적으로 금리가 높다는건 주식도 그렇지만 배당의 메리트가 크게 떨어진다는 것입니다.
그러니 당연히 벨류에이션조정이 있겠지만 배당주로서의 벨류에이션은 어느정도 다시 높아지게 되죠.
또한 앞서 언급한 파산 위험성도 줄어들고요.
결론적으로 금리가 은행의 수익에 영향을 주지만,
주가는 그 외에 다양한 요소들로 인해 상방, 하방의 요인이 상존한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직장인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주식] 엔비디아는 거품인가? 실적을 뜯어보자 (0) | 2023.08.28 |
---|---|
[직장인 투자] 헷지펀드 시대의 종말? (0) | 2023.08.27 |
[직장인 투자] 심상치 않은 전기차 시장 (0) | 2023.08.22 |
[직장인 투자] 가격 모멘텀 관점에서의 섹터별 밸류 (0) | 2023.08.22 |
[직장인 투자] 중국의 부동산 문제 - 중국은 정말 바보일까? (0) | 2023.08.20 |